Jiyong's STUDY
[Linux] chmod, umask와 특수 권한 본문
chmod 옵션
-R : 하위 디렉터리를 포함하여 디렉터리 내부의 모든 파일의 접근 권한을 변경
-c : 권한이 바뀐 파일만 자세히 기술
-f : 파일의 권한이 바뀔 수 없어도 에러 메시지를 출력하지 않게 함
문자 모드에서
+ : 권한 부여
- : 권한 제거
= : 권한 설정
u : 사용자
g : 그룹
o : 기타 사용자
a : 전체
umask
umask 명령어로 권한을 지정하면 파일이 가질 수 있는 최대 권한값에서 umask로 지정한 값을 뺀다.
umask 011일 때, 디렉터리를 생성하면 777-011 = 766 권한의 디렉터리로 생성된다.
-S : 8진수가 아니라 문자열로 지정된 권한을 출력
특수 권한
Set-UID : 파일 실행 시 그 파일의 사용자의 권한을 일시적으로 취득한다. (파일 only) // 4
Set-GID : 마찬가지로 그룹의 권한을 일시적으로 취득한다. (파일 + 디렉터리) // 2
Sticky-bit : 디렉터리에 붙는 권한. 해당하는 디렉터리에는 누구나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. (디렉터리 only) // 1
chmod xxxx 에서 맨 앞의 권한이다.
Set-UID와 Set-GID는 s권한이며 Sticky-bit는 t권한이다.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Linux] 환경변수 (0) | 2018.06.10 |
---|---|
[Linux] /etc/fstab, fsck 명령어, mount 명령어 (0) | 2018.06.10 |
[Linux] df 명령어 옵션 (0) | 2018.06.10 |
[Linux] 파일 관련 (0) | 2018.06.09 |
[Linux] 리눅스 기본명령어 (0) | 2018.06.09 |